본문 바로가기
생활꿀팁

[경제용어] 가계부실위험지수(HDRI)란

by 구의동날다람쥐 2023. 10. 13.
728x90

가계부실위험지수(HDRI)란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. 

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환비율(DSR)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/자산비율(DTA)을 결합하여 산출합니다. 

HDRI
가계부실위험지수란

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%, 100%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는데, 이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'위험가구'로 분류합니다. 

위험가구는 소득과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'고위험가구',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'고DTA가구',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'고DSR가구'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위험 및 고위험가구가 당장 채무상환을 하지 못할 정도로 임계상황에 직면한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. 단지 가구의 채무상환능력의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. 

한국은행은 2015년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가계부실위험지수를 최초로 소개한 바 있습니다. 

출처: 한국은행

 

 

[경제용어]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(DSR)이란

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9월 금융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9월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80조원에 이릅니다. 이중 주택담보대출은 834조이며, 기타대출은 245조 정도입니다. 비록 8월달과 비교

greenwich-obs.tistory.com

 

[경제용어] 담보인정비율/주택담보대출비율(LTV)이란

최근 주택가격 하락으로 4대 시중은행의 올 상반기 주택담보대출비율(LTV) 80%를 넘는 대출 채권이 지난해 말보다 두 배 늘어났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. 담보로 잡은 집값이 떨어지면서 LTV 한도가

greenwich-obs.tistory.com

 

[경제용어] 총부채상환비율(DTI)이란

정부가 지난 7월 전세금 반환이 어려운 집주인을 위해 1년간 대출 규제를 풀어주기로 했습니다. '하반기 경제정책방향'에 이 내용이 담겼는데요. 현재 모든 대출자에게는 총부채우너리금상환비

greenwich-obs.tistory.com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