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읽고나서

[난생처음 해보는 배당투자] 1. 배당투자 초읽기(1)

by 구의동날다람쥐 2021. 8. 23.
728x90

<치과의사 피트씨의 똑똑한 배당주 투자> 로 배당주 투자 공부하기

1. 배당은 신호
분식회계 등 재무제표는 얼마든지 조작될 가능성이 있다. 하지만 기업의 펀더멘털이 탄탄하지 않고서는 배당을 인상할 수 없다. 배당이 인상된다는 것은 믿을만한 신호다. "배당이 인상된 기업을 찾아라"

2. 투자기업 찾기
다트에서  기업의 '사업보고서' 읽어보기

3. 수익성과 재무건전성 체크
사업보고서의 '요약재무정보' 확인하기
수익성을 알 수 있는 주요지표
(1) 당기순이익 
(2) 주당순이익(EPS) : 순이익/발행주식수
이 두 가지가 우상향하고 있는지 확인할 것 

4. 배당현황 체크
(1) 배당성향(%) :  배당금총액/순이익 * 100
→ 일정기간의 순이익 중에서 현금으로 주주에게 주는 배당금 총액의 비율
(2) 주당배당금(DPS) : 배당금총액/발행주식수
(3) 배당수익률(%) : 주당배당금/주가
= 시가배당률 = 배당금을 금리와 비교하는 기준

​이 3가지 지표는 사업보고서의 '배당에 관한 사항' 항목에서 확인할 수 있다. (최근 3년의 배당이력)

​5. 경영진의 평판
경영진 리스크를 확인하기 위해서는 먼저 사업보고서상 '주주에 관한 사항' 항목에서 최대주주와 지배구조를 파악해야 한다. 대주주의 지분 비중은 반드시 체크해야 하는데, 대주주의 지분율이 낮은 경우 배당을 소홀히 할 가능성이 있기 때문이다. 

​"대주주의 지분율이 높으면 적극적인 배당정책을 펴게 되고, 이는 높은 배당성향으로 나타나는 경우가 많다."

​6. 주가수준(저평가여부) 판단
주가수익비율(PER) = 주가/주당순이익(EPS)
= 주가가 주당순이익의 몇 배인지
= 현재 주가가 몇 년치 순이익에 해당되는지 

​7. 우선주 여부
우선주는 의결권이 없는 대신 배당에 대한 우대혜택을 주므로, 보통주보다 배당금을 더 많이 받을 수 있다. 

728x90